해외반응
(구)사회/문화 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사회/문화 해외반응
[WD] 해외네티즌 "한국어와 일본어 중 어떤게 배우기 쉽지?" 해외반응
등록일 : 24-06-09 15:03  (조회 : 18,129)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한국어가 일본어보다 대체로 배우기 더 쉬운가요?

저는 영어와 러시아어 두 언어를 합니다.
얼마전에 일본어를 배우고 싶었는데, 한자 시스템이 너무 어렵더라고요.
제가 알기로 한국에는 한자 대체 문자가 있고, 일본어처럼 한자가 많이 쓰이지 않는다고 들었어요.
그래서 한국어가 더 쉬운지 궁금해요.
만약 더 쉽다면, 얼마나 더 쉬운가요?

한국어가 저에게 가장 매력적인 건 알파벳 시스템이에요.
왜냐면 저는 별 공부없이 알파벳만 배우고 여러사람과 대화하면서 현재 영어실력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한국의 문자도 알파벳이기때문에 비슷할거라고 생각해요.

K-002.jpg


<댓글>

KoreaWithKids
읽기는 더 쉬운데, 발음은 더 어려움.
문법은 비슷하고.
한국어가 더 복잡하다는 사람도 있어.


ㄴdylbr01
한글 자음은 세 개로 구성되어 있어. 
평음, 약한 경음, 강한 경음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꽤 어려워.


ㄴBrilliant_Lake_6700
dylbr01/혹시 한자라고 알아?
일본어 배우려면 한자 수천개나 배워야 한다고.ㅎㅎ


ㄴdylbr01
Brilliant_Lake_6700/알아.
그래서 일본어는 읽기는 힘들다고 하는거고.
반면 한국어는 발음이 힘들어.
문법의 경우는 두 언어가 어려운지는 잘 모르겠고.


blahs44
내 생각에 처음에는 한국어가 더 쉽지만, 장기적으로는 둘 다 비슷함.


Saeroun-Sayongja
한국 알파벳은 간단하고 배우기 쉬움.
일상적인 문자에 한자를 쓰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고.
하지만 한국어 자체는 일본어와 비슷하게 어려움.
어떤 사람들은 한국어가 일본어보다 더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어.


ㄴLooseMemery
한국어 발음이 일본어보다 더 어려움.
적어도 내 경험으로는 일본어가 서양어와 더 비슷했어.


ㄴf0rtytw0
LooseMemery/난 영어권 사람인데, 일본어가 더 직설적으로 들림.
반면 한국어는 읽기가 쉽고.
문법은 비슷함.
나한테 일본어는 말하고 듣는 건 더 쉬운데, 쓰고 읽는게 어려움.
한국어는 말하고 듣는 건 어려운데, 읽고 쓰는 건 쉬움.


ㄴgoddessofthewinds
LooseMemery/나도 막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했는데, 확실히 발음이 어려워.
표준 발음이라도 알아듣기가 힘들어.


ㄴKleinod88
goddessofthewinds/특히 비음을 처음 들으면 '네'인데, '데'처럼 들렸어.
한국어 원어민이 아니면 진짜 알아듣기 힘들어.
그리고 쌍자음도 어떻게 소리내야할지 모르겠더라고.


ㄴgoddessofthewinds
Kleinod88/한국어 배우는데, 쓰여진 글자처럼 발음을 하지 않으니, 한동안 머리속이 혼란스럽더라고.
그래도 일본어와 문장 구조과 비슷해서 좋은 점도 있어.


ㄴina_waka
처음에는 한자가 더 배우기 어렵다고 생각되지만, 나중에 가면 한국어는 읽기만 가능하지, 의미와 연결하는게 더 어려워짐.
그리고 발음 부분은 나도 동의하는게, 한국어 발음이 더 어려움.
일본어는 더 분명하게 발음되는데, 한국어는 발음 방식이 더 유연하더라고.


ㄴSoldat_wazer
ina_waka/문자에 대해서 완전 동의함.
처음 시작은 한자가 더 어렵지만, 의미 연결부분에서 한글이 더 어려워.
결국은 한글은 시작할때나 쉬움.


ㄴina_waka
Soldat_wazer/또 다른 차이점은 한국은 한자를 사용하지 않으니까, 하나의 발음을 3,4개의 의미로 사용함.
일본어는 발음이 똑같아도 한자를 사용하니까 구별이 쉬운데.


ㄴSaeroun-Sayongja
ina_waka/한자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 보다는 숨겨져 있다는 말이 더 정확할 듯.


ㄴSoldat_wazer
한자가 시작은 어렵지만, 일단 배우기 시작하면 결국은 더 쉽다는 것에는 동의함.


ㄴOmegawop
내 경우도 한국어가 일본어보다 더 어렵더라고.
동음이의어가 훨씬 많은 것 같아.


michelle867
두 언어 모두 모국어가 아닌 사람인데, 내가 느끼기에는 발음은 일본어가 더 쉽고, 문자는 처음 배울때는 한글이 쉬움.


ㄴEnderDremurr
발음은 쉬울지 모르지만, 여전히 한자가 어려워서 너무 고문 같아.


ㄴSnowiceDawn
EnderDremurr/한글도 읽기는 쉬워도 무슨 의미인지 모르면 마찬가지로 쓸모가 없어.
그리고 동음이의어가 많아서 무슨 의미인지 알기도 어렵고.


Jeremithiandiah
한국어가 전체적으로 더 어려운 것 같던데.
특히 발음 부분.
일본어가 더 어려워 보이는 이유는 한자 때문인데, 결국 의미 연결이 쉬워서 처음만 어려운거야.


ㄴtremecat
한자는 문맥을 이해하는 부분에서 결국은 한글보다 쉬움.
근데 일본어 배우려면 한자까지 해야하니까 힘든게 문제여서 그렇지.


Delicious_Cattle3380
한국어- 발음, 듣기, 어휘가 어려움.
일본어- 문자가 어려움.


skowzben
한국문자는 알파벳이라서 배우기는 쉽더라고.
한국어는 못해도 읽는 건 쉽게 배움.


ㄴClowdy_Howdy
소리만 알고 의미를 모르면 언어를 배우는데 별 도움은 되지 않잖아.
읽기 쉽다고 해서 한국어 자체를 배우는 것이 쉬운건 아님.


ㄴskowzben
Clowdy_Howdy/한국어를 배우는게 쉽다는 말이 아니야.
그냥 쉽게 읽을 수 있으니까, 더 접근이 쉽다는 의미지.


sei556
일본어를 한국어처럼 열심히 공부하지는 않았지만, 일본에서 6개월 동안 살았었어.
근데 비슷한 수준이거나 아니면 한국어가 조금 더 어려웠어.
특히 일본어 발음은 내 모국어인 독일어와 더 비슷하더라고.


folgerscoffees
알파벳때문에 처음에는 한국어가 더 심풀하다고 생각되지만, 그 심플함이 결국 일본어보다 더 어렵다고 느껴짐.


MONKEYTIMEaa
나한테는 한국어가 훨씬 쉽던데.
문법도 이해하기 쉬었고, 문자도 쉽고.


jyc23
문법은 비슷, 존댓말도 비슷, 근데 일본어가 좀 더 규칙적.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들에게는 한국어가 일본어보다 더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음.
쌍자음 같은 발음은 이상하게 들리거든.


randomjak
댓글을 보면 한국어 먼저 배우고 그다음에 일본어 공부한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
비슷한 언어라서 두 번째 배운 것이 당연히 더 쉽게 느껴지는거야.
단어도 한자에서 유래해서 비슷한 것도 많으니까.

근데 난 한자 공부하는 사람이 얼마나 고생하는지 이해함.
특히 그 암기 하는데 드는 시간은 한국어 발음이 일본어 보다 어렵다는 사실을 상쇄하고도 남음.

한자어를 알면 일본어 배우는게 더 쉽다는 건 동의하지만, 일본어가 유창하더라도 모르는 한자어를 볼때마다 그 좌절감은 진짜 심해.
특히 지명이나, 메뉴판 볼때 너무 머리가 아프더라고.


SuddenImagination177
두 언어 모두 배우고 있는데, 문자는 한국어가 100배 쉬움.
문법은 비슷하기는 한데, 일본어 문법이 좀 어려운 것들이 있고.


Toc_a_Somaten
한국어는 한자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일본어보다 쉬운 건 아님.
특히 모국어가 영어/프랑스어/스페인어/이탈리어라면 한국 문법이 더 복잡하고 발음도 더 어렵더라고.
그리고 한국어는 동음이의어가 많아서, 한자를 알면 한국어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아.


itemluminouswadison
문자만 배우는 거면 한글이 쉬움.
근데 언어측면에서는 훨씬 어려울 듯.


Mysterious_Benefit27
문자만 보고 한국어가 더 쉽다고 생각하면 절대 안됨.


mightyroy
두 언어중에 하나를 먼저 배우면, 다른 언어는 쉬울거야.
단어가 10%정도 겹치고, 문장 구조는 90%가 유사함.


gel009
내 생각에는 문자가 하나라서 더 쉬운 것 같은데.
일본어는 3가지 문자를 사용하잖아.
근데 발음은 한국어가 더 어려움.


DerpAnarchist
동음이의어 때문에 한글은 의미를 아는게 더 어렵더라고.


kairu99877
한마디로 말하기가 어렵다.
일본어가 문법이나 어휘 익히기 쉬운 것 같지만, 결국은 한자의 어려움때문에...


pricklypolyglot
한국어를 공부하더라도, 결국은 한자 공부하게 될거야.


TerraEarth
내 생각에는 한국어가 더 쉬워.
한글을 배우는데는 반나절이면 되니까, 시작이 쉬우니까 접근성이 좋음.
반면 일본어는 한자 자체가 벽이라서, 처음 문자 배우는데부터 엄청난 시간이 걸릴거야.


darci7
두 언어를 공부하려고 시도했었는데, 내 경우는 한국어가 더 쉬웠어.
한국어는 배운지 오래된 건 아니지만, 더 쉽더라고.


eXl5eQ
발음 부분에서 일본어는 쉬운편임.
근데 한자 자체가 많은 사람들에게 골칫거리.
솔직히 뭐가 더 어려운지 모르겠어.
나는 중국어를 하니까, 한자가 쉽지만.


BuysBooks4TBRCart
일본어는 발음이 더 직설적이어서 이 부분은 쉬운데, 한국어는 듣기와 발음이 어려워서 배우는데 더 집중해야함.


luckypat00
한국인 입장에서 말해줄게.
기초는 더 쉬움.
근데 한국어 배워도 한자도 공부해야할거야.
문자는 바뀌었지만, 상당수가 한자에서 유래한 단어를 쓰거든.
특히 고급수준으로 올라가려면 한자를 알아야함.


TheClientOnTheEarth
한국어가 좀 더 어려운 것 같지만, 외국인들에게는 큰 차이는 없을 듯.
그래서 둘 중에 하나를 고르는게 고민이라면 더 관심 가는 언어를 추천함.
언어를 배우는 것은 긴 과정이니까, 더 관심 가는 언어를 배우는게 좋아. 


CloakDeepFear
내 생각에는 한국어는 일본어에 비해서 읽고 쓰는 게 더 쉽고, 듣고 말하기는 더 어려움.


moosebearbeer
일본어는 문자 시스템 때문에 초반에 많은 고생을 하는 것 같아.
그러니까 이 글 쓰는 사람도 초보라서 고생하고 있는거고.
나도 지금 그 단계라서 한글 배울때 쉽게 느껴졌던게 그립더라고.


No-Comment4135
먼저 몽골어를 배우는 건 어때?
러시아어 처럼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문법은 한국어나 일본어와 비슷함.
몽골어 배우고서 나중에 한국어나 일본어 배우면 더 쉬울거야.


dondegroovily
한국어가 더 쉬워.
한글이 쉬우니까 언어자체를 배우는데 많은 도움을 줌.
반면에 일본은 문자 자체가 어려워서 진입장벽이 높아.


ㄴCM_GAINAX_EUPHORIA
일본어는 반복되는 한자가 많아서 어휘자체 학습은 그렇게 어렵지 않아.
기초 한자를 알면 조합해서 복잡한 한자어도 배우기 쉬워지고.
근데 한글은 의미를 알기 어렵잖아.


ㄴdondegroovily
CM_GAINAX_EUPHORIA/그래서 일본어 단어는 뜻을 어느정도 유추는 가능하지만, 한자를 어떻게 발음하는지가 어렵잖아.
또 생소한 단어는 의미를 알기도 어렵고.
한국어는 생소한 단어를 보더라도 어떻게 발음하는지는 알 수 있어.
발음 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한자 의미만 아는 것 보다 언어를 배우는데  훨씬 도움이 됨.



번역기자:알라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알라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체사레 24-06-09 15:04
   
잘 봤습니다
지방간 24-06-09 15:13
   
한글은 배우기 쉽지... 한국말은...
구레나룻 24-06-09 15:20
   
잘봤습니다
인천쌍둥이 24-06-09 15:22
   
한자 배워봐라 어렵다
한글은 배우기 쉽지만
세계에서 배우기 어려운 말 순위
1위 중국어. 2위 일본어. 3위 한국어임
     
EIOEI 24-06-09 21:15
   
언어자체로 보면 영어권 사용자에겐 한국어 난이도가 훨씬 어려움
아랍어와 더불어 세계에서 가장 배우기 힘든 언어권에 속함
     
대거 24-06-10 02:45
   
영어권 사람이 일본어 배우는건 헬이지만 한국인에겐 일본어 엄청 쉽죠.
같은 이유로 한국/일본인이 영어 배우는게 지독하게 어렵고..
          
허까까 24-06-10 20:35
   
일본어 엄청 쉽다는 것도 오해입니다. 중급 정도가면 이것도 골아파요.
Balzac2 24-06-09 15:23
   
잘 봤습니다
Lopaet 24-06-09 15:43
   
한글은 글자 그 자체가 발음기호라는 걸 생각해 본다면, 발음이 별 문제가 안될텐데...

가타가나,
히라가나
한자를 모두 다 외워야 겨우 안닫히는 발음 정도 구사하는 일본어를 어찌 한국어와 비교하지?

발음의 다양성 때문에 발음이 적은 중국어와 일본어에 비해 성조도 거의 없다시피한데...
     
merong 24-06-09 16:21
   
히라가나 가타가나도 발음기호나 마찬가지임.
외국인들이 힘들어 하는건 갸들이 원래 지들은 안쓰던 발음이 한국말에 있어서 그럼.
발음기호가 문제가 아니라 해본적 없는 발음을 해야 하니까 힘든거임.
일본어에서 실제 쓰는 발음기호가 적으니까 쉬운거고, 한국어는 실제 쓰는 발음기호가 많아서 힘든거임.
한국인이 p f 구분 힘든만큼, 갸들도 지들 안 쓰는 발음을 힘들어함.
근데, 한국어가 글로 쓸수 있고 평상시 쓰는 발음이 최고 많은 언어 일거임.
          
Lopaet 24-06-09 18:53
   
오~ 일리있네요
          
N1ghtEast 24-06-10 08:25
   
몇몇 자음, 모음이 생략되었고
받침이란 개념이 아예 없는 일본어니까
발음의 범위, 폭 이란 측면에서는 일본어가 매우 간략화되어있으니까 그 이야기 하는 것 같습니다

반면 한국어는 R F Z RR 이런 비슷한 자음발음이 있는데 혀로 기교부리는 몇몇 발음을 제외하고는
받침은 물론이고 된음, 그리고 각 음절을 비교적 명확하게 발음해야하고
그 와중에 흘리는 말하는 발음까지 다 알아야하니
발음의 스펙트럼이 일본어에 비해서 훨씬 넓죵
     
아리문 24-06-10 01:17
   
한글과 한국어는 달라요 한글은 쉬워도 한국어는 진짜 어렵죠 한국인들도 맞춤법 어려워하는데 외국인들이 더 할 걸요.
감독 24-06-09 15:56
   
한글은 인정, 한국어는 글쎄...
우리야 매일 사용하는 언어니까 어려운 줄 모르고 사용하지만, 처음 접하는 외국인 입장에서는 쉽진 않을 듯
친구네집 24-06-09 16:01
   
뭐가 더 어렵고 쉬운진 모르겠지만...

한국인이 일본어 배우는건 쉽게 배우지만...

일본인이 한국어 배우는건 상대적으로 좀 더 어렵다는 사실~
골드에그 24-06-09 16:05
   
잘봤습니다.
새벽에축구 24-06-09 16:23
   
언어천재들의 경우 말고는 다른 나라 말은 다 어려움. 영어라고 특별히 쉬운게 아니라 다른 언어보다 영어 공부에 투자하는 시간이 훨씬 많으니까 다른 언어보다 더 잘 알아듣는 것일 뿐임.

대부분의 것들이 집중해서 투자하는 시간에 비례함.
춘스리 24-06-09 17:24
   
언어학자들 얘기하는거 봤는데 한국어가 가장 어렵대요
     
원형 24-06-11 06:23
   
남성형 여성형도 없는 한국어가 어렵다고 말하는 한국인이 있다면 그것 자체로 세뇌되어 있는 겁니다.

그저 영어권 사용자가 배우기 어려운 언어 이러니까 좋아하고 있는 것일 뿐
양철북 24-06-09 17:41
   
luckypat00
한국인 입장에서 말해줄게.
기초는 더 쉬움.
근데 한국어 배워도 한자도 공부해야할거야.
문자는 바뀌었지만, 상당수가 한자에서 유래한 단어를 쓰거든.
특히 고급수준으로 올라가려면 한자를 알아야함.

-------------------
한국인인척 하는 중국인인것 같은데
한국인중에 한자의 필요성을 느끼는 사람이 있을까요?
배운 한자도 다 잊어버리는 판국에 뭔 한자???
     
암스트롱 24-06-09 20:00
   
고급한국어 단계까지 간다면 당연히 한자를 공부해야죠.
회화같은 일상생활 한정이라면 고급한국어까지 안가도 되잖아요.
          
또돌이표 24-06-09 20:47
   
뭔 개소리?
한자 몰라도 됨.

"한자" 요 단어가 한자에서 유래된거다 이거죠?
근데 한자를 모른다고 문제가 되나?

그냥 한자 라고 하면 다들 그걸 생각함. 굳이 漢字 라고 쓸 필요도 없고
원래 漢字 에서 나온 말이라고 할 필요도 없음.

그냥 "한자" 자체로 단어라고..
love 나 peace 같은 단어라고..
love 가 라틴어 어디에서 유래 되었는지 몰라도 영어를 하는거랑 같아.
               
아리문 24-06-10 01:34
   
러브가 라틴어랑 유래됐다는 거완 또 다르지 않나요 애초에 단어 속에 쓰이는 한자를 알면 뜻을 유추할 수 있는데요. 예전에 신문에 괜히 단어를 한자로 표기했었을까요. 한국어에 대략 70~80프로 가까이는 한자 단어인데 단순 회화단계에선 필요없지만 진짜로 고급 한국어를 학문으로 배우는 사람이라면 사자성어나 속담의 뜻을 이해하려 할텐데 그렇다면 말 그대로 한자를 아는 게 중요하죠. 요즘애들 문해력 떨어지는 이유가 한자를 잘 몰라서 그런거에요. 최소 몇 백자는 한자로 알고 있으면 나중에 서류 작성이나 법률적인 용어에 대한 습득이 쉬워지죠 다른 언어에 비해 특히나 동음이의어가 많은 게 한국어에요
                    
merong 24-06-10 07:32
   
그게 같은거라고요.
원래 라틴어 어원을 가지고 있는데, 그걸 몰라도 영어를 할 수 있다고요.
원래 한자 어원을 가지고 있지만, 그걸 몰라도 한국어 쓰는데 문제 없고요.
예를 들어 "act"라는 라틴어가 있어요. "행동" 이란 뜻이죠.
거기서 action react active 등등등이 나왔죠.
한자어 "행동"에서 나왔다는거 몰라도 한국말 다 알아듣는것 처럼요.
                         
아리문 24-06-10 20:14
   
유래가 된 거랑 한자로 명확하게 뜻을 알 수 있는 거와는 다르죠. 유래라는 거는 명확하게 어떻게 단어가 형성됐는지 대략적으로 유추하는 것일 뿐입니다. 차라리 순 우리말이 어디서 유래됐냐 하는 게 더 비슷한 비교겠죠. 지금 이 댓글에서 얘기하는 것은 고급 한국어 배우기인데 왜 몰라도 된다고 본인이 파악하시는지요. 진짜로 한국어를 학문적으로 깊게 배우기 원하는 사람들이 고급 한국어를 배우는건데 그럼 한자를 알아야죠. 앞에 언급하신 것처럼  영어의 접두어 접미어의 대략의 뜻을 알면 조합된 영어도 단어의 뜻을 유추할 수 있죠 우리가 토익 단어 외우는 방법도 이런식으로 접근하고요.
               
N1ghtEast 24-06-10 08:28
   
타일러 수준의 고급과정, 즉 학술, 전문용어까지 공부하려면
한자를 조금 알아야 이해에 도움은 되겠지요
일상범위에서는 조금 어려운 단어라도 한자공부 따로 안해도 된다 봅니다
몇몇 기초적인 한자어는 따로 배울 필요없이 걍 자연스럽게 '아 저건 저거다' 식으로 알게 될거 같습니다
우리가 영어 공부하다 보면 라틴어 어원으로 자주 쓰이는 접두사 접미사를 알아보듯이요
                    
auddls2 24-06-10 11:09
   
한자를 몰라도  "영어 공부하다 보면 라틴어 어원으로 자주 쓰이는 접두사 접미사를 알아 보듯이"  저절로 알게 되겠지만  한자를 알면 그 시간이 훨 단축 되겠지요.
     
auddls2 24-06-10 11:05
   
그래서 고급수준에 올라가면....  이라고 했잖습니까.

한자를 알면 어휘력과 정확한 단어의 뜻을 아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물론 일상 생활에 쓰는 언어 정도 에서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겠지만 말입니다.
          
원형 24-06-11 06:25
   
사전을 보면 정확한 뜻을 알게 되는데 그걸 한자를 알아야 한다...

한자 안다고 그게 완벽한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죠.

되었다면 일본식 한자어 때문에 고민할 필요도 없고 (특히 법률) 중공의 백화 때문에 뭔지 모르는 뜻을 찾아볼 필요도 없습니다.
악역 24-06-09 17:53
   
난 한국어를 추천 문자가 쉬워서 금방배움 일본은 동음이의어가 많아서 결국 언어쪽도 난이도가 비슷함
블랙커피 24-06-09 18:36
   
나중에 난이도가 어쩌고 저쩌고 하는건 큰 의미가 없음. 시작이 무조건 쉬워야됨. 처음부터 문턱이 높으면 언어마스터까지 가지도 못함. 이건 꼭 언어뿐만이 아니라 모든 것에 적용이 가능함. 첫 문턱이 낮아야 시작도 쉽고, 시작이 쉬우면 학습유지도 쉬워짐. 언어는 습관들이듯이 습득을 해야하는데 처음부터 어려우면 거부감이 생기고 금방 지치게 됨. 결국 포기하게 될 거임

그리고 한국은 즐길 컨텐츠가 일본보다 훨씬 다양하고 많은데다가 드라마의 경우엔 실생활에서 쓰이는 표현도 많기 때문에 언어학습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음. 반면에 일본은 드라마, 영화가 상대적으로 재미없고 기껏해야 애니메이션이 봐줄만 한데, 애니메이션에서 쓰이는 표현이나 발음은 실생활에 써먹지 못함. 내가 외국인이라면 무조건 한국어를 선택할거임
바두기 24-06-09 19:11
   
잘봤습니다.
솔직히 24-06-09 19:14
   
일본 본토인들도 한자 다 몰라.
명함주면 어떻게 읽느냐 물어보는 게 다반사인데다, 심지어 총리조차 한자를 못읽어서 구설수에 오르는 게 일본임.

그리고, 한국어 동음이의어 타령하는 중국인들은 이거 나 읽어라.

《施氏食獅史》
« Shī shì shí shī shǐ »
《시씨식사사》

石室詩士施氏, 嗜獅,誓食十獅。
Shíshì shīshì Shī shì, shì shī, shì shí shí shī.
석실시사시씨, 기사, 서식십사.

氏時時適市視獅。
Shì shíshí shì shì shì shī.
씨시시적시시사.

十時,適十獅適市。
Shí shí, shì shí shī shì shì.
십시, 적십사적시.

是時,適施氏適市。
Shì shí, shì Shī shì shì shì.
시시, 적시씨적시.

氏視是十獅,恃矢勢,使是十獅逝世。
Shì shì shì shí shī, shì shǐ shì, shǐ shì shí shī shìshì.
씨시시십사, 시시세, 사시십사서세.

氏拾是十獅屍,適石室。
Shì shí shì shí shī shī, shì shíshì.
씨습시십사시, 적석실.

石室濕,氏使侍拭石室。
Shíshì shī, Shì shǐ shì shì shíshì.
석실습, 씨사시식석실.

石室拭,氏始試食是十獅。
Shíshì shì, Shì shǐ shì shí shì shí shī.
석실식, 씨시시식시십사.

食時,始識是十獅屍,實十石獅屍。
Shí shí, shǐ shí shì shí shī shī, shí shí shí shī shī.
식시, 시식시십사시, 실십석사시.

試釋是事。
Shì shì shì shì.
시석시사.
     
솔직히 24-06-09 19:16
   
참고로 이거 읽는 중국인

https://www.youtube.com/watch?v=oWFNhuDQ0Tc
     
물하나 24-06-10 18:10
   
미친 ㅋㅋ
가출한술래 24-06-09 19:50
   
잘봤습니다.
헬로비녓스 24-06-09 19:51
   
luckypat00
한국인 입장에서 말해줄게.
기초는 더 쉬움.
근데 한국어 배워도 한자도 공부해야할거야.
문자는 바뀌었지만, 상당수가 한자에서 유래한 단어를 쓰거든.
특히 고급수준으로 올라가려면 한자를 알아야함.

쥐뿔도 모르면서 아느척은..
한국인도 한자를 굳이 안 배워도 실생활에 어려움이 없는데 외국인이그걸 왜 배우냐

일뽕들이 두둔하는 댓글이 많이 보이는데 한국어가 중국어 일본어 보다는 확실히 쉽다가 중론임.
마고님 24-06-09 19:53
   
자주 쓰는 한자 몇백개만 외워두면 글 읽을때 7~80의 대략의 의미를 아니까 쪽어가 쉽다고 하는 듯. 근데 읽을 수는 없지 왜 한자 발음을 지들 조트 꼴리는대로 하는게 널려서 훈독, 음독, 지명, 인명
지하 24-06-09 20:06
   
언어 난이도 에서도 가장 어렵다는게 아시아 3국인데
1. 중국어는 외국인이라면 알아 듣지도 못할 각 단어마다 음의 높낮이가 다른 성조
수천개가 넘는 상형문자. 지역별로 언어가 틀릴수도 있어 통역을 따로 해야된다. 중국인이라도 TV볼때 자막이 필요하다.
2. 일본어는 문자를 배울때 한자를 수천개나 외워야한다.히라가나와 가타카나를 따로 배워야한다
조사와 동사. 어순이 어렵다
3. 한국어는 문자 자체의 진입이 쉽다. 기초 한자가 필요할때가 있다. 배울수록 어순과 동사의 구분이 어렵다
존대말도 배워야된다
세계에 존재하는 언어 중에 가장 어려운 언어 1위는 중국어. 2위 아랍어. 3위 일본어. 4위 한국어 라고 합니다
이거라도 위안이 된다면 배워보실..
     
원형 24-06-11 06:29
   
영어권이 배우기 어렵다는 건데 반대도 형성되죠.

그저 다른 문화의 다른 문법을 가진 언어를 배우기 어렵습니다.

그런데 한자와 아랍문자는... 그자체로 헬일 뿐이죠.
또돌이표 24-06-09 20:50
   
일본어는 문제가.. 띄어쓰기를 안써요.

그래서 "아버지가방에들어가셨다."
라고 쓰면 아버지가 가방에 들어간건지 방에 들어간건지 몰라요.
그래서 한자로 씁니다.
아버지가房에들어가셨다.
이러면 헷갈릴 리가 없잖아요?


한마디로 일본어는 띄어쓰기만 도입하면 한자 버려도 됨.
근데 왜 띄어쓰기를 안하는지는 잘 모르겠음.

띄어쓰기가 완벽한게 아님.
간단한 예로, 우리나라 글 역시 띄어쓰기에 대한 완벽한 정의가 없음.
아니 정의가 불가능함.
그래서 띄어쓰기도 개나 소나 다 다름.

하지만 우리는 그래도 잘만 씀.

일본은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아직도 한자를 쓰는거 같음.
진실게임 24-06-09 21:00
   
중국인들은 일본어가 더 쉽지. 일본 책에서 한자어가 많이 나오니까, 반은 먹고 들어가는 셈이니.
     
auddls2 24-06-10 11:15
   
학창시절 대부분의 전공서적은 영어였지만 한,두과목이 일본어 였네요.
나는 그래도 한자를 조금 아는 축이어서 한자와 기본 가타카나 히라카나 만 가지고도 공부 할 수 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다행히 전공서적은 많은 부분이 한자여서 가능한 것이었지만요.
Timeseller 24-06-09 21:24
   
우리도 발음이나 단어 정리할 필요는 있어보입니다. 예컨대 '혜'를 '해'로 읽는 것 '쉐'를 셰로 읽는 것, 예와 얘, 에와 애, 시간이나 날짜에서 숫자 읽는 방법, 재료별 묶음 읽는 방법, 단음 장음 구분 등.

추가로 어차피 간판이고 메뉴 주소고, 아파트 이름이고 죄다 영문 쓰거나 혼용을 할거면 f,p l,r구분을 위해 훈민정음 옛 글자 사용 장려해야 할 것 같네요.
     
원형 24-06-11 06:33
   
글자대로 발음하면 되는데 그걸 못한다니 이상하긴 합니다.

어떻게 ㅖ와 ㅒ를 구분 못하는지

거기에 쉐를 셰로 발음?

그런데 시간이나 날자에서 숫자 읽는 방법은 문화적인 것이죠. 발음과는 상관이 없는 것이고.

영문을 써대는 것은 영어가 멋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이 다수라서 그런 것이라서 시간이 지나면 좀 나아질 수 도... 뭐 메뉴판에 프랑스어를 그것도 필기체로 써놓는 것들을 보면 그도 아닌 것 같기도 하지만.
mojo 24-06-09 22:26
   
일본애들도 우리나라 말이 한자를 사용하지 않아서 뜻을 구분하기 어렵다는 말을 많이 하고, 그래서 한글 체계가 후지다고 말하던데.. 쟤네들도 동일한 오류를 범하고 있네요. 진짜 웃기는 게, 대화할 때 눈 앞에서 한자를 그려주는 게 아닌데 말이죠. 글자는 소리를 옮겨적는 기호일 뿐인데, 그걸 한자로 표기한다고 의미구분이 잘 된다? 의미가 다른 구성요소와의 관계에 의해서 형성된다는 언어의 기본적인 속성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 참 많은 거 같습니다.

의사(doctor), 의사(intention), 의사(pseudo) 등등 한자어가 달라도 결국 우리가 말을 할 때는 문맥 속에서 의미를 이해하게 되죠. 일본어도 그 부분에선 동일하고, 세상에 동음이의어 없는 언어가 없죠. 동음이의어가 많아서 언어 배우기 어렵다는 애들은 99% 언어를 글자와 문법으로 배우려는 애들이고, 언어를 제대로 습득하는 건 힘들 듯.. 그러니 저런 소리나 하고 앉아 있죠.
마시마로5 24-06-10 00:27
   
아직 한자에 기반을 둔 단어들이 많음. 연패라고 기사 나오면확와닿지않고 상황을 보고 판단해야함. 쓸데없이 내일을 명일이라고 칭하는거도 그렇고. 한자를 은근히 쓰는 문화가 외국인들에게 어떻게 보일지 이해함. 그렇다고 기대치때문에 어려운것일뿐 중국어와 일본어에비할바는 아니지 저짝은 한자를 베이스로 깔고가는데.
     
원형 24-06-11 06:34
   
한자를 쓰면 유식해보이고 그런 것들이 많아서 그런거죠
자기자신 24-06-10 00:45
   
잘 봤네요
소천 24-06-10 01:52
   
짱 개들 간체자를 써서 일본보단 한자 외우기는 쉬울거예요
언어적인 측면에선 성조때문에 알아듣기가 무지 힘듬
듣기에도 안좋고
활잡이 24-06-10 01:58
   
한국어를 배우려면 그냥 한국사람과 같이 살면서 이것저것 다 배워야 됨 그거 아니면 개 어려운거지

좋은 것 '같다'
뭐뭐 하는것 '같다'
이런 표현도 ㅈㄴ 어려운거임

뭐한다
좋다
이것도 아니고 계속 뭐뭐했으면 좋겠다
뭐뭐 하는것 같았으면 좋겠다
뭐뭐가 되는 식이었으면 좋겠다

이런게 줜내게 많으니까
머리가 터지는거임
     
원형 24-06-11 06:36
   
요즘은 좋다를 좋은 것 같다라고 써대니 문제죠.
그렇게 좋지 않다고 써대고 있는거죠

시대가 그 모양인 것이라서 그냥 배워야 합니다. 한국인이 보기에도 이상하니까.
솔직히 24-06-10 03:30
   
동음이의어 때문에 한자가 좋다고 ?
ㅄ인가? 동음이의어라는 말이 무슨 말인지 몰라? 같은 발음인데 뜻이 다르다는 거야.
다시 말해 쓰기와는 상관없는 거라고.

니들이 말하는 건 글자가 같은 데, 뜻이 다른 거 말하는 거야. ㅄ들아. 다시말해 동문이의어라고 동음이의어가 아니라. 한자자랑하면서 동음이의어 뜻을 모르네. ㅋㅋㅋ

그리고 동음이의어에선 구분가능한 발음의 가짓수가 중요한 거야. 그래서 발음가짓수가 적은 중국어,일본어가 압도적으로 동음이의어가 많아.

게다가, 동문이의어(동음이의어 아님) 얘기하자면, 한자는 뜻이 하나 있는 한자가 오히려 드물어.  짱1깨색히들은 왜 이리 ㅄ같은지 모르겠네.
     
merong 24-06-10 07:45
   
동음이의어의 많은 부분이 한자어에서 온거 같음.
원래 한자는 성조 넣어서 읽어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그런거 없음.
그러니까 원래 성조로 구분되어야 하는 단어들이 한국에서는 전부 동음이의어가 되는거임.
          
솔직히 24-06-10 08:14
   
성조는 문장내에서의 상대적인 높낮이이기 때문에 , 단음절만 분리해서 들으면 무슨 뜻인지 몰라요.  그냥 그게 동음이의어입니다.

다시말해, 저들이 한자어의 장점으로 이야기하는 게 허상이라는 겁니다. 한자 하나에 훈이 여러개이고 뜻도 여러개라 그냥 관용적인 표현을 외워야 하는 셈이라 거죠.

흔히 아는 쉬운 한자로 예를 들어보죠.

 車  수레 거.  수레 차.
車馬(거마)  : 거마비(車馬費)로 차비(車費)를 말하는데 나이든 사람들이 쓰는 구닥다리 말이 됐어요.
車票(차표)  :  티켙인 '표'는 권(卷 )과 같은 글자인데 요새 쓰는 교통카드가 '권'에 해당 되는 말입니다

九 아홉 구.  모을 규.
九回(구회) : 야구(野球)는9회말(末)...
九合(규합) : 사람을 끌어 모으거나 한가지 목표를 두고 뭉치는 것을 규합이라는데 규합(叫合)으로 오해하기도 합니다.

한자로 쓰면 뜻이 명확해진다는 그냥 개소리임.
한자로 쓰면 오히려 뜻이 불분명해지고 발음조차 불분명해짐. 거의 모든 단어가 이런 식으로 원칙도 없이 다 관용적으로 쓰이는 데, 이게 장점이라니. 한글은 발음이라도 명확해지지. 한자는 뭣도 없음.ㅋㅋㅋ

그래서 처음보는 한자조합, 쉽게 말해서 상대의 이름같은 고유명사면 한자를 아무리 많이 알아도 어떻게 읽어야 하는 지 물어봐야 하는 겁니다. 아니 많이 알면 알수록 더 물어봐야 겠죠. 더 다양한 훈과 뜻을 알고 있으니. 이런 ㅄ같은 게 바로 한자입니다. ㅋㅋㅋ
봉명이 24-06-10 05:36
   
빙구들 꼴깝을 떠네 읽기 쉬우니까 접근성이 더 좋지 ㅋㅋ
SmyE 24-06-10 06:40
   
문법난이도는 비슷한데 일본은 한자를 많이써서 우리나라보다 조금더 어려울듯
에페 24-06-10 09:52
   
잘봤습니다
아이리스필 24-06-10 10:00
   
글자는 한글이 압도적으로 쉽지. 진짜 천재적인 문자라 생각함. 한국어가 어려워서 그렇지
소문만복래 24-06-10 10:24
   
완벽한 문법을 구사하려면 한국어가 더 어려운데,
당장 기본적인 회화 정도로 의사전달만 목적으로 하려면 읽고 쓰기 쉬운 한국어가 압도적으로 쉽지.
     
원형 24-06-11 06:38
   
그건 어느 언어나 마찮가지입니다.
완벽한 것을 추구할때는 그렇죠.

러시아인들도 힘들다는 러시아어 라든지 많죠.
human 24-06-10 11:01
   
luckypat00

한국인 입장에서 말해줄게.

기초는 더 쉬움.

근데 한국어 배워도 한자도 공부해야할거야.

문자는 바뀌었지만, 상당수가 한자에서 유래한 단어를 쓰거든.

특히 고급수준으로 올라가려면 한자를 알아야함.

-----------------------------
얘 한국인 맞음?
     
auddls2 24-06-10 11:21
   
왜?  맞는 말 아닌가요?
          
솔직히 24-06-10 12:35
   
뭐가 맞음?

한자몰라서 생활에 불편하거나 업무가 불편하신 적 있음? 한자관련직업이 아닌 이상 한자가 아니라 우리나라는 영어를 많이 알아야 합니다. ㅋㅋㅋ

골빈 애들이 자격지심인지 뭔지 모르겠는데
쓸데없이 영어를 남발하기 때문이죠.

거버먼트 인게이지먼트, 레귤레이션 , 어그레시브하게 어쩌고 저쩌고
용산의 누군가가 떠오른다면 기분 탓입니다.
발자취 24-06-10 12:15
   
잘 봤습니다~~
디카트리오 24-06-10 15:59
   
25년 전까지는 중국에서 코카콜라를 可可可可(가가가가)로 표기했는데 지금도 그러나??
마칸더브이 24-06-10 18:52
   
잘 봤습니다
허까까 24-06-10 20:34
   
알파벳 문자권 애들이 의미 연결이니 동음이의어니 하는 게 어이없네요 ㅋㅋ
즐거운상상 24-06-10 21:12
   
잘 봤습니다.
부엉이Z 24-06-12 16:29
   
당연히 한글이지............
부엉이Z 24-06-12 16:30
   
잘봤어요..........
redshark 24-06-24 21:27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