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밀리터리 해외반응
[EU] 루마니아, 에이브람스에서 한국의 K2로 기울고 있다, 해외반응
등록일 : 24-05-28 09:47  (조회 : 28,788)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루마니아가 운용하는 현 전차인 T-55의 노후화로 교체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원래 미국의 M1 에이브럼스가 유력 후보였는데, 최근 한국의 K2로 기울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외국인들의 반응입니다.


루마니아는 T-55전차의 대체품을 필요로 한다. M1에이브럼스 대신 대한민국의 K2로 기울고 있다.

000.jpg



Argented
T-55를 K2로 교체한다니 정말 미친 생각이야. T-55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약 15년 후에 생산이 시작됐어. 공정하게 말하자면, 역사상 가장 많이 생산된 탱크는 T54/T55와 그 변형들이었고, 모든 구 소련 동맹국들이 그것을 얻었지. 톈안먼 광장의 탱크맨은 T54a의 중국 버전 앞에 서 있었어. 루마니아가 그들의 버전을 플레이트와 광학 장비로 현대화했을 것이라고 확신하지만, 여전히 80년대 젊은이들이 운전했던 탱크야. 그걸 기본적으로 가장 현대적인 탱크로 교체한다는 건 정말 엄청난 업그레이드야.


ㄴvt1032
이들은 전형적인 T55가 아니야. TR85들이야. 이들은 TR580의 대대적인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TR580은 70년대 소련과의 관계가 악화되었을 때 설계되고 제작된, T55와 유사하지만 정확히 같지는 않은 리버스 엔지니어링된 탱크였어. 90년대에 그들은 장갑에 ERA를 추가하고, 독일산 신형 엔진, 현대식 화력 통제 시스템, 총안정 장치, 레이저 거리 측정기, 야간 투시 장치 및 포수용 열 감지 장비를 추가했어. 여전히 별로이지만 전형적인 T55와는 완전히 다른 동물이야.


ㄴㄴDownvoteEvangelist
슬로베니아의 T55와 비교하면 어때?


ㄴㄴㄴzob_ro
둘 다 별로야, 서방 군대에서 여전히 사용 중인 탱크 중 성능이 떨어지는 상위권에 있어. 루마니아의 TR85는 여전히 현대식 주력 전차에 비해 비효율적인 100mm 포를 가지고 있어. 소련과의 관계가 악화되자 기술 이전도 중단되었고, 루마니아 산업은 신뢰할 수 있는 120mm 포를 제작할 전문 지식이 없었기 때문에 오래된 디자인을 업그레이드하고 개선하려고 시도할 수밖에 없었어.


ㄴㄴㄴㄴvt1032
섞여 있어. 둘 다 좀 별로야. TR85의 아킬레스건은 100mm 포를 유지한 반면 M55S는 NATO 표준 L7 105mm 포를 가지고 있어, 이는 훨씬 더 나은 주포로 훨씬 더 강력한 탄약을 사용할 수 있어 (미국 및 이스라엘에서 제조됨). 슬로베니아나 우크라이나가 그 더 나은 탄약을 가지고 있는지는 모르겠어. 반면에 M55S는 열 감지 장비가 없지만 TR85는 포수용 열 감지 장비를 가지고 있어, 이는 오늘날 일반적으로 큰 장점으로 간주돼.


Ok-Lets-Talk-It-Out
한국은 서방의 강력한 동맹국이야. 나는 그들이 더 많은 유럽과 한국 간의 유대감을 쌓아서 유럽이 태평양 국가들의 미래에 더 투자하게 되기를 바라. 게다가 폴란드는 한국과 공동 유지 보수 시설을 폴란드에 설립할 예정이라고 믿어. 이는 유사시 공급망이 한국과 유럽 간에 중단될 때 이 탱크들을 계속 운영할 수 있도록 유럽 대륙에서 많은 부분을 서비스하고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해.


ㄴBcDownes
폴란드에서는 2026년부터 1000대의 K2 중 820대가 라이선스 하에 생산될 예정이야.


ㄴㄴOk-Lets-Talk-It-Out
더 좋네. 한국은 확실한 기술력을 가지고 있고, 서구의 능력을 그 플랫폼에 통합할 수 있기를 바래.


ㄴㄴㄴcjc4096
한국은 일본과 필리핀과 함께 미국과 잘 통합되어 있어. 이번 달에도 많은 합동 훈련이 있었어.


ㄴㄴfloatingsaltmine
폴란드가 최첨단 주력 전차 1000대를 주문했다는 게 정말 놀라워.


ㄴㄴㄴspicy_pierogi
그들의 역사와 지리적 장벽의 부족을 고려하면, 그들을 탓할 수는 없어.


ㄴㄴㄴiDareToDream
러시아가 NATO를 공격한다면 폴란드는 러시아가 넘어야 할 첫 번째 단단한 금속 방어선이 될 테니까. 그들은 자주포와 HIMARS를 포함한 새로운 장비를 대량으로 구매하며 현대화에 힘쓰고 있어.


ㄴSingularityInsurance
나는 미국인으로서 그들을 격려하고 싶어. 우리는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들이 있어. 게다가 우리는 MIC(방위산업체)에서 많은 부패를 겪고 있어. 공화당 의원들과 함께라면, 우리가 유럽을 지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알고 있기 때문에, 유럽은 더 다양한 선택지들을 육성하는 것이 좋을 거야.
민주주의의 무기고가 조금만 더 펼쳐져 간다면 자유 세계 전체를 위해 더 좋을 거야.


ㄴBlyatskinator
좀 주제에서 벗어나지만, 대한민국이 이렇게 바람직하고 고급 무기를 만들기 시작한 건 언제였지ㅋㅋㅋ?? K9 썬더(화포/자주포)에 대해서도 들었는데, 그것도 꽤 탄탄한 것 같아.


ㄴㄴschizophrenicism
언제냐고요? 90년대죠. Task & Purpose에 좋은 유튜브 비디오가 있어요.


ㄴㄴSerpentineLogic
Perun(군사 유튜버)이 그것에 대한 유튜브를 만들었긴 한데, 간단히 말하면, 이전 몇십 년 동안 자신들의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3단계 전략을 갖고 있었대.
1. 기술이 있는 국가로부터 군수품을 구매하고, 운용 및 유지 관리를 하면서 설계 원칙을 이해하기.
2. 자체적으로 라이센스를 획득하여 제조하고 몇 가지 자잘자잘하게 개선하기.
3. 더 강력한 국내 디자인 버전을 개발하기. 북한이 옆에 있으니까 많이 만들 수 있지. 이런 상황에선 공장이 모든 것을 수작업으로 만들지 않고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규모 투자를 할 수 있지.
그리고 이제 잘 설계된 수백 대의 차량과 경험 많은 노동자들로 가득한 공장이 있게 되는거야. 155mm 자주포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이 50%인 이유가 있지. 저렴하고 효과적이며 빠르게 납품되니까.


ㄴpossiblyMorpheus
전적으로 동의해.


ㄴraptorgalaxy
대한민국 장비는 미국 제품보다 조금 더 저렴하고, 한국인들은 보통 현지 제조에 대해 별로 개의치 않아해.
한국은 고객이 얼마나 돈을 지불하는가에만 관심이 있지. 미국인들은 여러가지 어지럽히는데 말이야.


ㄴㄴLvLUpYaN
K2 팬서는 M1 에이브럼스보다 비싸.


wanderingpeddlar
그들에게는 좋지만 M1을 받는 것도 추천하지 않아. 멋진 탱크지만 유지보수의 여왕이야.


Banana_Joe85
여기서 독일 방산업의 실패를 볼 수 있어. 루마니아는 Leopard 2의 완벽한 후보였을 텐데. 하지만 독일조차도 곧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도 기다리기 싫어하지.


ㄴ_fafer
몇 십 년 동안 전쟁 상태에 있었던 국가들의 산업이 복잡한 군사 하드웨어의 대량 주문을 더 쉽게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은 충격적이야. 반면에 소련 붕괴 이후로 거의 아무것도 만들 수 없었던 산업은 그렇지 못해.


ㄴGurthNada
한국의 군사와 방위 산업에 대한 헌신을 의심하는 사람은 없어. 독일은 현재 그렇지 않은 것 같아. 언젠가는 그렇게 될 수도 있겠지만.


ㄴSimonArgead
독일은 Leopard 2의 대체 모델을 개발 중이야. 우선, 라인메탈(Rheinmetall)은 K2 블랙 팬서와 같은 세대의 주력 전차로 KF51 팬서를 개발하고 있어. 두 전차는 능력 면에서 차이가 있겠지만, 그것은 지켜봐야 알겠지. KF51은 기본적으로 130mm 주포가 장착될 예정이지만, 120mm 주포로도 교체할 수 있어. 헝가리는 120mm 주포가 장착된 KF51을 주문한 것으로 알고 있어.
프랑스와 함께하는 프로젝트도 있어. 하지만 네가 언급한 것처럼, 개발 시간도 있고 대부분의 국가들이 2035년까지 새 전차 주문을 기다려서 2040년경에나 받을 수 있게 되는 상황을 원하지 않는 것 같아.


coalitionofilling
비용을 고려하면 아마 좋은 생각일 거야. K2는 또한 약 18톤 더 가벼워.


Quick-Ad9335
K2는 Abrams보다 저렴하지 않아. 사실, 단위당 비용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비싼 탱크로 간주되기도 해. 이 문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단위당 비용에는 매우 높은 개발 비용이 포함돼 있어. 어쨌든 K2는 결코 저렴한 탱크가 아니야. K2를 Leopard와 Abrams보다 구매하는 주요 이점은 한국이 기술 교환과 고객 제조를 더 기꺼이 허용한다는 점이야. 또 다른 큰 이유는 EU와 미국의 수출 및 외교 정책 변덕에 의존하지 않으려는 바람이지. 한국은 K1에서 겪었던 문제로 인해 가능한 한 많은 국내 부품을 사용하도록 K2를 설계했어.
현재까지 K2의 고객은 폴란드와 터키로, 서방 동맹 국가들이며 호환성을 원하지만 외교 정책에서 어느 정도 독립성을 유지하고 싶어해.


Wanna_Know_More
M1 Abrams는 매우 구체적인 유지 보수 요구 사항과 다른 물류적 부담이 많아. 매우 무겁고 비싸지. 비교할 수 없는 주력 전차의 괴물이지만, 대부분의 군대(솔직히 말해서 미국 군대도 포함)에게는 요즘 전쟁 방식에 맞지 않아.
K2는 루마니아의 억지력 필요성에 더 쉽게 유지하고 대량으로 획득할 수 있는 매우 견고한 옵션으로 보이네.


ㄴAdorableBowl7863
다연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아무 연료로나 작동할 수 있나?


ㄴㄴWanna_Know_More
정말? 내가 그 부분에서 틀렸을 수도 있어. 하지만 연료 요구 사항이 관리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고 있었어. 여기서 읽었을 수도 있으니 약간의 의구심을 가져야겠네.


ㄴmithu_raj
M 에이브람스는 미국 군대에게 매우 유능한 전차야. 미국은 엄청난 물류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어서 이 전차의 연료 소비나 유지 보수 같은 단점을 이미 해결할 수 있어.
미국은 사막 폭풍 작전 중 M1 에이브람스를 전 세계로 운송하고, 외국에서 공세를 펼치면서도 배치된 전차를 지원할 수 있었음을 기억해야 해. 이 전차는 편의상 제트 연료로만 운행되지만, 다른 거의 모든 종류의 연료로도 운행할 수 있어. 무게가 문제지만, 이 문제는 다른 전차에서도 마찬가지야. 그래서 지원 차량이 중요한 거지.


Yes_I_Have_
M1은 적에게 괴물이고 엄청난 공급망이 필요해. 그것은 정확히 설계된 대로 작동하지. 하지만 동유럽의 진흙탕에서는 기동하기가 힘들어. 심지어 기사도 Bradley가 Abrams보다 더 가볍고 민첩하다는 이점을 지적해.
어떤 전격전 공격이나 돌파구에서는 속도와 힘이 필요해. 진흙탕에 빠진 무거운 탱크는 진격을 더디게 만들어.

* Bradley(브래들리): M2 Bradley. 미국이 운용하는 장갑차(보병전투차). 역자주.


ㄴKarrtis
지압(땅의 압력)에 대해서나 전차 설계에 대해 전혀 모른다고 말해주라... 여기서 유일한 진실은 공급망에 관한 얘기 뿐이야.


ㄴpossiblyMorpheus
우크라이나에 새로운 지원 패키지로 얼마나 많은 브래들리가 보내질지 궁금해. 브래들리가 우크라이나에 큰 도움이 됐고, ATACMs와 F-16이 배치되면 반격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ㄴGenerationalNeurosis
유지보수와 공급망까지만 언급했다면 믿을 수 있었을 거야. 에이브럼스는 더 나은 중량 분포, 더 나은 간극 극복, 상당히 높은 최고 속도와 기동성을 가지고 있고, 헐거운 조건에서도 트랙을 잃을 가능성이 훨씬 적어. 또한 키가 약 1피트 정도 짧아.


Odd_Tiger_2278
더 새롭고. 더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쉬워.


Lucky-Hunter-Dude
M1 Abrams는 90년대에 제조가 중단된 거 아니었어?


ㄴNudel22
아니, 아직도 생산되고 있어, 물론 수정된 상태로.


ㄴratt_man
맞아, 1996년에 마지막으로 새로운 차체가 만들어졌어. 하지만 이제는 탱크를 완전히 분해해서 새 차체로 다시 조립해. 메가팩토리라는 쇼가 있는데, 리마에서 그걸 분해하고 새롭게 재조립하는 모습을 보여줘.


ㄴFickle_Ad_8860
미국엔 사막위에 몇 천 대가 그냥 앉아있어, 아마 절대 사용하지 않을 걸. 그거 팔자.


ㄴㄴInitial_Cellist9240
미국은 팔 수 없어. 그 탱크들은 DU 장갑을 가지고 있어서 수출하지 않아. 그게 에이브람스 수출이 느린 이유 중 하나야. 미국은 특정 모델만 수출할 수 있고, 그런 모델이 많이 없어서 대부분 새로운 생산품을 보내고 있어.


Karrtis
나도 그렇게 생각해, K2는 M1보다 더 현대적이고 보수적인 디자인이야. 그리고 작은 군대에서는 자동 장전기가 승무원 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어.


Nerevarine91
특히 폴란드가 많은 수량을 구매하고 공장과 유지 보수 시설을 설립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합리적이야.


DrakeAU
비싼 탱크네.


Pararaiha-ngaro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주력 전차 중 하나”


anxcaptain
우크라이나에서 본 것처럼 탱크를 사는 건 그냥 바보 같은 생각이야.


iyamwhatiyam8000
대전차 미사일의 발전으로 인해 탱크는 점점 더 취약하고 비용이 많이 들고 있어. 최근 우크라이나의 Abrams도 대전차 미사일에 의해 파괴되었고, 보호 장치가 구축되기 전까지는 임시방편에 불과해 보여.


ShiraLillith
NATO의 대부분이 Leopard 2를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Leopard 2가 더 나은 선택이라고 주장할 수 있어.


ㄴSuriael
여기서 문제는 아마도 배송 시간일 거야.


Icy-Revolution-420
루마니아 입장에서 "트럼프" 스타일의 대통령에게 부품을 구걸하면서, "왜 그냥 러시아에게 땅을 돌려주지 않느냐"는 말을 들을 수도 있다고 상상해봐.


Ricard74
두 단어: 기술 이전.


honcho_2105
T-55에서 K2로 전환하는 게 얼마나 어렵겠어, 그렇지?


Pilotom_7
올바른 결정을 위해선 추가적인 옵션패키지도 고려해야 할 거야. 한국 제조업체가 미국 업체에 비해 무엇을 제공할 수 있을까?


ESB1812
공급 경로가 유럽에서 육로로 이어지길 원할 것 같아. 큰 전쟁에서는 해상 통로가 차단될 수도 있거든.


pepe_acct
미국이 전차 교리를 재고할 필요가 있을지 궁금하네. 아마도 미래의 전쟁에서는 대형 중전차가 덜 중요할 수도 있어.



번역기자:둥둥섬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둥둥섬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천재라고 24-05-28 09:56
   
잘 봤습니다. ㅎㅎ
gorani 24-05-28 10:07
   
잘봤습니다. 02
고사리동동 24-05-28 10:09
   
여기도 전차 무용론이 나오는데...전쟁의 승패는 결국 화력임. 지상전에선 거기에 기동력이 더해져야 하는거고. 그건 전쟁이 시작된 이래로 수천년간 이어져온 진리임. 현재 개발된 지상 무기중에 전차만큼의 기동력과 화력을 가진 무기가 있나? 드론과 대전차 무기의 발달로 방어력의 중요성이 많이 약화 되긴 했지만 사실 1차 대전 2차 대전때 기관총 때문에 방어력이 살짝 효과를 봤던 것이고 결국엔 기동력과 화력이 오메가이자 알파가 될거임...그게 결국 전차고.
 현대 전차의 문제점은 떡장갑이 필요한 전차 대 전차 의 교전이 거의 없어니는 상황이고 전차포 사거리 밖에서 전차를 손쉽게 무력화 시킬수 있는 미사일이나 드론에 의해 쉽게 파괴 된다는거임.
 이런 전차 방어력의 취약점은 전술 교리 기술로 극복이 가능할것임. 또 모르지 전차의 방어력이 중요하지 않다면 그리고 전차대 전차의 싸움이 더 이상 필요 없어진다면 지금같은 떡장갑은 필요 없고 좀더 가벼운 장갑에 빠른 기동력 더 높은 구경의 포로 화력을 증가시키고 레이저 요격체계 같은 원거리 방어체계를 덕지덕지 붙이는 고속 기동 고화력 전차가 등장할지..
양철북 24-05-28 10:15
   
K2가 레오파드. 보다 비싸다는 근거는 뭘까?
     
고사리동동 24-05-28 10:16
   
초기 양산 100대 생산하는데 거기에 개발비까지 합해서 계산하니 대당 단가가 천정부지로 솟구치는거죠. 현재까지 250대 생산했고 150대 생산을 더 한다고 하니 대당 단가는 계속 내려가겠죠?
          
양철북 24-05-28 13:28
   
개발비든 뭐든,
결국 자기들이 돈 내는 그 가격이 중요할텐데
판매가로는 레오의 절반도 안 되는데
               
멀더요원 24-05-29 00:03
   
저도 판매 가격에서는 레오파드나 에이브러험 보다 현저히 저렴하다고 알고 있어요.
본글에서 얘기하는 1대당 단가가 더 비싸다는 소리는 그냥 잘 모르면서 편협한 멍멍~

거기다 독일도 미국도 전혀 맞출 수 없는 초단기 납품기일~  캬~~~
바두기 24-05-28 10:22
   
잘봤습니다.
골드에그 24-05-28 10:28
   
잘봤습니다.
구레나룻 24-05-28 10:38
   
잘봤습니다
에페 24-05-28 10:58
   
잘봤습니다.
Mayrain 24-05-28 11:04
   
제가 무기같은건 잘모르지만 수출많이하고 많이 만들수록 한국도 더 저렴하게 생산할수 있는게 맞나요?
     
토막 24-05-28 11:22
   
맞아요.
개발비가 무기 가격에 포함되는데 많이 만들 수록 한대당 들어가는 개발비가 적겠죠.
     
천년의시 24-05-28 15:20
   
개발비가 무기 가격에 포함되어 있어서 흑표도 처음 나올땐 대당 가격이 100억 가까이 했습니다.
지금은 전차 제작만 하면 되니까 90억, 80억 점점 떨어지죠
정론지지 24-05-28 11:06
   
폴란드가 운용하며 드래곤24대규모 훈련을 통해 다른 전차보다  기동력, 사격정확성에 대한 입소문 타서 동유럽 최전방쪽은 K2 도입 할 가능성 큽니다. 루마니아에 이어 슬로바키아도 K2도입 검토중입니다.
빅터리 24-05-28 11:08
   
K2가 대당 단가가 레오파드와 에이브람 보다 훨씬 싼걸로 알고 있는데 왜 반대로 얘기하지?
황제폐화 24-05-28 11:10
   
일단 k2가 에이브람스와 레오파드2에 비해 엄청 쌈. 에이브람스야 수출버전이라 열화우라늄 장갑이나 탄을 안쓰는 버전이니 더 떨어질 것이고 레오파드2는 K2판매가의 2배가 넘을 예정임.
     
원형 24-05-29 01:55
   
M1은 열화우라늄을 빼도 비싸요.

거기에 방어능력 떨어지고 공격능력은 아주 떨어지죠. 52구경장인 K2와 레오2에 미치지 못하는 44구경장이라 비교 대상조차 못됩니다

하지만 미제라 비싸게 사야하죠. 이런 미국것 안사면 다른 나라들 것도 못삼

레오2는 이건 납품 의지가 있는것인지도 의문 헝가리 주문한지 5년만에 1대 납품. 그것도 폴란드 수출하니 그제서야 한대.

여기에 이 두나라 모두 기술 이전 그런 것 없음.

한국만 기술 이전을 해줌. 사실 한국이 기술 이전 안해줬으면 120대가 아니라 60대쯤 팔고서 60대 추가로 끝냈을 상황임.
환승역 24-05-28 11:26
   
드론이 전차의 카운터로 등장했다고는 하나 결국 지상군이 점령을 해야 끝나는거라 형태가 바뀔 수도 있겠지만 전차가 사라지지는 않을 듯
nigma 24-05-28 11:31
   
도대체 비싸다는 얘기는 어디서 어떻게 와전되었기에 아직도 저런 말들이 있는지???
지금 레오야 말로 K-2 두배요 유지보수 비용과 편의까지 생각하면 그냥 진짜 전쟁고려할 나라들은 사면 안되는 탱크인데...

장갑도 K-2 보기륜이 하나 적어 부피와 몸체 면적이 적어 상대적을 장갑을 덜 써도 되고 다른 전차들과 달리 내부 시스템도 첨단화로 많은 감량을 했기에 전체적으로 가벼운 것인데...

이번 우-러전 교훈에서도 드러났듯이 과거 2차대전시절 처럼 서러 쭉서서 몸빵전 하는게 아니라 드론과 대전찬무기등이 난무하는 난전에서 몇미리 더 장갑 있는 것이 아무 소용이 없고 외려 기동성의 저하로 피격 가능성만 커지는 꼴이 되는 것...

미국도 이전까지 전차 개발 교리와 방향을 다 엎고 K-2를 추종하는 새로운 전차개발을 하는 마당에...
K잉TM 24-05-28 11:37
   
너무 쉬운 "기술 이전" 분명히 언젠가는 우리 발목을 잡을 겁니다
     
정론지지 24-05-28 12:26
   
이미 가지고 있으면 똥값 되는 기술만 이전 해주는겁니다. 주요기술은 국가에서 잡고있기 때문에 줄 수도 없어요. 단 공장 지어주고 생산라인 같은게 유출되겠지만요.
          
nigma 24-05-28 15:48
   
네, 전 후자가, 후자도 아주 크다 생각합니다. 그게 노하우고 실력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결국 돌고돌아서 잠재적 적국에도 정보가 유출되기 쉽습니다.
KAI가 태국에 KF-21제안했다던데 돈독이 오른건지 몰라도 태국은 안될나라로 무기류의 거래시 지켜야할 기본을 안지킵니다.
태국은 스웨댄 사브 기종을 수입해선 중국과 연합훈련하며 전투기의 실전적 정보와 전술들을 다 까발렸습니다.
인니도 독일 잠수함을 중국등에 수리를 맡기는 등 해서는 안될, 무기거래의 상호간의 지켜야할 것들을 전혀 지키지 않았습니다.

방산 선진인 미국은 에전 어디서 보기를 미국의 GE 엔진 공장에서 자기 엔진을 사용을 하는(홍보와 마케팅) 우리들을 불러 공장 견학시켜주고 했으나 정작 중요한 작업 라인은 별도로 하고 근처도 못가게 통제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KAI전투기 설계하며 외려 자랑질해서 미국이 우리 설계와 생산기술의 노하우를 많이 참고해서 지금 반영하는 것으로 압니다.
               
원형 24-05-29 01:57
   
카이는 그냥 미국 종속이었음.

그리고 KF-21도 감시 수준이고.

그나마 모든것을 한국이 해서 그렇지 그렇지 않았다면 당연 외국 미사일도 못달고 한국것도 개발 못함

T-50이라는 기체가 있는데도 미사일 개발을 못한 것을 보면 알 수 있음. 미국이 다 막아 놨음
          
nigma 24-05-28 15:48
   
우리가 지금까지 총기류나 포탄 그냥 전술차량 이런게 아니라 스텔스기 잠수함 전차 같은 중요 무기수출을 이전에는 해본적인 없어서 마치 총기류 같이 거래하는데(물론 나름 더 신경쓰기는 하지만, 미국이나 유럽등 서구 애들이 하는 고려에는 많이 미치지 못합니다.) 유사시 미국이나 유럽 같은 어떤 강제적 수단이나 제재를 할수 있지도 않으면서 대책없이 파는 것은 전혀 바람직하지 않다 생각합니다.
          
nigma 24-05-28 15:48
   
기술보안도 문제입니다. 인니에 향후라도 팔게될 여지를 남겨두려는 쓸데없는 미련이 있어보입니다만 시제기등을 넘기지 말아할 이유중 한가 그들이 룰(?)을 지키지 않고 시제기를 불법적으로 조사해보거나 이미 많은 정보를 입수한 바 짐짓 정리하는 모양새로 제대로 댓가 지불하지 않고 시제기를 챙기려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문제는 인니는 터키와 연결이 은근히 아주 강한 나라로 터키도 인니를 통한 우리 기술의 입수를 여러번 시도한 적도 있고 또 그렇게 하려합니다.

그러니 이대로 더 주는 것 없이 인니와는 쫑내는 것이 바람직하도 태국등에는 당연히 스텔스기 판매는 안될 것 일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스텔스는 그 특성상 평시에도 접촉 자체를 차단하여 전파정보등을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해아하고 이는 유사시 스텔스기를 투입해야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중국과 연례로 합동훈련하는 태국이라뇨, 안될일입니다. 중국도 그리펜 과 모의전시 동원에 지들 중요전술기들 동원하지 않았습니다.
태국이 자랑하고 파 그리한 것이지만, 그만큼 개념 자체가 없는 것이고 동남아 많은 나라들이 그런만큼 아무렇게나(?) 거래할 일이 아니라 생각합니다.
     
레미르 24-05-28 12:37
   
터키가 이미 뒷통수 한번 침.
근데 우리보다 싸게 만들 능력은 없어서 아직은 큰 피해는 아니긴 함.
          
bbak 24-05-28 13:00
   
터키가 기술 가져가서 만든 알타이가 실제 성능평가에서 K2에 비해서 한참 못미치는 결과로 입증되었죠. 진짜 핵심기술은 가져가질 못했으니 동등 이상의 물건을 만들 기술이 없습니다.
          
땡말벌11 24-05-28 13:58
   
터키가 가져간 기술은 돈만 주면 다 구입할 수 있는 기술로 압니다.
그래서 설계 개념은 가져가도 보기륜도 많고, 수동장전에다가 다른 부품은 대부분 수입을 하죠.
이런 이유로 전차가 엄청 덩치가 커지고, 증가된 무게로 인해서 사막이나 진흙, 눈 등에 취약하고, 엔진부화가 심각해서 예맨 시범 중 알타이가 실제로 퍼졌죠.
특히 장갑재는 사실상 극비라서 조립생산을 제외한 현지생산품의 경우 그 성능이 보통 다운이
됩니다. 그러하기에 알타이전차의 방어력은 그렇제 좋지 않다고 봅니다.
알타이 전차는 인도의 아준전차의 현대화 개량 버젼급으로 봅니다. ㅋㅋㅋ
               
원형 24-05-29 01:58
   
돈만 주면 다 구입할 수 있다?

그런데 왜? 한국에서?

돈이 있어도 기술을 구 할 수 없는 겁니다. 한국이 유일하게 기술을 그렇게 퍼주는 나라.

예외라면 한국에게 러시아가 기술 팔때였음
     
록키발보아 24-05-28 15:05
   
우리가 K2 전차에서 개발이 멈춤다면 발목이 잡히겠지만...기술이전 해주고 그 기술로 그 나라에서 자체 생산할쯔음에 우린 그 다음세대 전차를 개발해서 생산할 수준에 도달하는게 목표겠지요. 윗님 댓글처럼 핵심 기술만 우리가 가지고 있으면 크게 문제될건 없다고 봅니다.
     
천년의시 24-05-28 15:19
   
진짜 쥐뿔도 아는것도 없으면서 아는척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한테까지 공포심 심어주려는 거 역겹네
Balzac2 24-05-28 12:43
   
잘봤습니다
커서 24-05-28 15:21
   
오늘도 번역 감사드립니다.
체사레 24-05-28 15:32
   
잘 봤습니다
ㅇㄹㄴ 24-05-28 19:43
   
잘봤습니다
즐거운상상 24-05-28 19:45
   
잘 봤습니다
레드민 24-05-28 20:39
   
잘 봤어유
가출한술래 24-05-28 21:21
   
잘봤습니다,
부엉이Z 24-05-28 21:40
   
잘봤어요.......
마칸더브이 24-05-28 21:59
   
잘 봤습니다
푹찍 24-05-28 23:30
   
코리아도 육로로 배달 가능하지 ㅋ 북한 중국 러시아 밀어버리고 ㅋ
     
멀더요원 24-05-29 00:05
   
허윽!  그런 날이 온다면 정말 좋겠네요  ㅋㅋ
꿀순딩 24-05-29 00:05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차가 필요 없어졌다고?
총알과 대포와 드론이 날라다니는데 맨몸으로 니가 전진할래? ㅋㅋㅋ
자기자신 24-05-29 01:20
   
잘 보고가네요
원형 24-05-29 02:01
   
한국이 기술을 너무 퍼준다.

그리고 그 기술은 한국의 발목을 잡는다.

터키가 장갑차로 그랬고 (터키 장갑차 기술은 어디서 왔을까?)
페루에 지원선을 팔았더니 몇년 후 페루가 대신 다른 나라에서 수주전에서 한국을 이김.

인도네시아가 6천억만 부른 것은 그것만으도 다 해먹을 수 있어서 그런거지. 혼자서 그러겠나.. 행복 회로 돌리는 것들도 참 역겹다.
발자취 24-05-29 02:08
   
잘 봤습니다~
carlitos36 24-05-29 12:39
   
잘 봤습니다.
감독 24-05-29 13:12
   
잘 봤습니다